OOOOOOriginal
OVERVIEW

2021년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에서 열린 졸업전시입니다. 박물관에서 작품들의 사진을 찍어 이미지를 소유하는 것에 만족하는 스스로의 모습을 계기로, 물체의 원본성을 주제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는 작업입니다. 1. 물건을 그 물건답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형태인가 기능인가? 2. 복제본이 가짜의 역할・지위를 벗어나 새로운 원본으로서 원본보다 더 원본에 가까울 수 있는가? 본 작업은 졸업전시가 마무리 된 후, 추천을 통해 한국디자인학회에서 주최한 '2022년도 대학생 연합 우수졸업작품전'에 출품되었습니다. 우수졸업작품전은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UI minimalistic widgets
An image of a smartphone on top of an eletronic surface

YEAR

2021

ROLE

Graphic Design

3D Modeling

Visual Experiment

SERVICES

COMPONENTS:

- Various sized objects
- Various sized printed matters
- Reaflet: 105x297mm
- RISO print
- 3D Artwork
- Pictures of Antiques Materials

About the project

박물관의 물건들은 멈춰있다. 본래 쓰임이 있던 이 물건들은 누군가에 의해 수집되어 오늘날 박물관에 전시되었고, 기능을 잃은 채 형태로만 존재하고 있다. 반대로 여기 <원원원원원원본>은 오직 외관, 형태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복제되었고, 이 복제에 의한 파생 행위로 새로운 원본이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원본들은 가장 단순한 입체물인 육면체에 인쇄되어 실제 세상에서 크기와 부피를 가지게 되었다. 역설적이게도 이 복제된 새로운 원본들은 박물관에 전시된 원본들과는 달리, 그 물체 본래의 기능을 수행 혹은 재현하고 있다. 그렇다면 본 물체에 더 가까운 것은 무엇일까? 기능을 잃었지만 형태가 완벽한 원본인가. 아니면 복제되고 변형된 형태지만 기능을 잊지 않은 <원원원원원원본>인가?

image of a smartphone leaning on top of a record player
UI minimalistic widgets
Smooth Scroll
This will hide itself!
OOOOOOriginal
OVERVIEW

2021년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에서 열린 졸업전시입니다. 박물관에서 작품들의 사진을 찍어 이미지를 소유하는 것에 만족하는 스스로의 모습을 계기로, 물체의 원본성을 주제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는 작업입니다. 1. 물건을 그 물건답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형태인가 기능인가? 2. 복제본이 가짜의 역할・지위를 벗어나 새로운 원본으로서 원본보다 더 원본에 가까울 수 있는가? 본 작업은 졸업전시가 마무리 된 후, 추천을 통해 한국디자인학회에서 주최한 '2022년도 대학생 연합 우수졸업작품전'에 출품되었습니다. 우수졸업작품전은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UI minimalistic widgets
An image of a smartphone on top of an eletronic surface

YEAR

2021

ROLE

Graphic Design

3D Modeling

Visual Experiment

SERVICES

COMPONENTS:

- Various sized objects
- Various sized printed matters
- Reaflet: 105x297mm
- RISO print
- 3D Artwork
- Pictures of Antiques Materials

About the project

박물관의 물건들은 멈춰있다. 본래 쓰임이 있던 이 물건들은 누군가에 의해 수집되어 오늘날 박물관에 전시되었고, 기능을 잃은 채 형태로만 존재하고 있다. 반대로 여기 <원원원원원원본>은 오직 외관, 형태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복제되었고, 이 복제에 의한 파생 행위로 새로운 원본이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원본들은 가장 단순한 입체물인 육면체에 인쇄되어 실제 세상에서 크기와 부피를 가지게 되었다. 역설적이게도 이 복제된 새로운 원본들은 박물관에 전시된 원본들과는 달리, 그 물체 본래의 기능을 수행 혹은 재현하고 있다. 그렇다면 본 물체에 더 가까운 것은 무엇일까? 기능을 잃었지만 형태가 완벽한 원본인가. 아니면 복제되고 변형된 형태지만 기능을 잊지 않은 <원원원원원원본>인가?

image of a smartphone leaning on top of a record player
UI minimalistic widgets
Smooth Scroll
This will hide itself!
OOOOOOriginal
OVERVIEW

2021년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에서 열린 졸업전시입니다. 박물관에서 작품들의 사진을 찍어 이미지를 소유하는 것에 만족하는 스스로의 모습을 계기로, 물체의 원본성을 주제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는 작업입니다. 1. 물건을 그 물건답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형태인가 기능인가? 2. 복제본이 가짜의 역할・지위를 벗어나 새로운 원본으로서 원본보다 더 원본에 가까울 수 있는가? 본 작업은 졸업전시가 마무리 된 후, 추천을 통해 한국디자인학회에서 주최한 '2022년도 대학생 연합 우수졸업작품전'에 출품되었습니다. 우수졸업작품전은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UI minimalistic widgets
An image of a smartphone on top of an eletronic surface

YEAR

2021

ROLE

Graphic Design

3D Modeling

Visual Experiment

SERVICES

COMPONENTS:

- Various sized objects
- Various sized printed matters
- Reaflet: 105x297mm
- RISO print
- 3D Artwork
- Pictures of Antiques Materials

About the project

박물관의 물건들은 멈춰있다. 본래 쓰임이 있던 이 물건들은 누군가에 의해 수집되어 오늘날 박물관에 전시되었고, 기능을 잃은 채 형태로만 존재하고 있다. 반대로 여기 <원원원원원원본>은 오직 외관, 형태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복제되었고, 이 복제에 의한 파생 행위로 새로운 원본이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원본들은 가장 단순한 입체물인 육면체에 인쇄되어 실제 세상에서 크기와 부피를 가지게 되었다. 역설적이게도 이 복제된 새로운 원본들은 박물관에 전시된 원본들과는 달리, 그 물체 본래의 기능을 수행 혹은 재현하고 있다. 그렇다면 본 물체에 더 가까운 것은 무엇일까? 기능을 잃었지만 형태가 완벽한 원본인가. 아니면 복제되고 변형된 형태지만 기능을 잊지 않은 <원원원원원원본>인가?

image of a smartphone leaning on top of a record player
UI minimalistic widgets
Smooth Scroll
This will hide itself!